중소기업 ESG경영은 IWA 48로 구축

제공

 

국제 ESG 가이던스(IWA 48:2024) 주요 내용

0.1 ESG란 무엇인가?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는 조직이 지속 가능한 발전, 사회적 책임, 윤리적 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운영적 프레임워크입니다.

  • 환경(E): 기후변화 대응, 자원 효율성, 생물 다양성 보호 등
  • 사회(S): 인권 보호, 노동 관행, 소비자 안전, 데이터 보호, 공급망 책임 등
  • 거버넌스(G): 윤리적 경영, 반부패, 규정 준수, 리스크 관리, 투명한 보고 등

ESG는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되며, 단순한 보고를 넘어 조직 운영 전반에 내재화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0.2 ESG의 목적

ESG의 핵심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직이 환경 및 사회적 영향을 평가하고, ESG 원칙을 준수하도록 지원
  • 이해관계자(투자자, 정부, 소비자 등)에게 신뢰할 수 있는 ESG 정보 제공
  • 조직이 ESG 기준을 충족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도록 돕는 것

ESG는 기존 재무 보고에 비재무적 요소(환경, 사회, 윤리 등)를 통합하여, 보다 포괄적인 지속 가능성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0.3 ESG의 기대 효과

ESG 도입을 통해 조직이 얻을 수 있는 주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본 조달: ESG 성과가 투자 의사결정 요소로 작용
  • 규제 대응: 환경·사회 관련 법규 준수 용이
  • 브랜드 가치 향상: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및 고객 확보
  • 인재 확보: ESG 친화적인 조직 문화가 우수 인재 유치에 기여
  •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 사회적 이슈 등 외부 리스크를 사전에 대응
  • 자원 효율성: 순환 경제 도입을 통한 비용 절감 및 효율성 증대.

0.4 ESG 프레임워크

이 문서는 ESG 원칙과 실행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모든 규모·산업의 조직에 적용 가능
  • 규제 대응뿐만 아니라 자발적 ESG 참여에도 활용 가능
  • 중소기업(SME) 및 자원이 제한된 조직에도 적합한 구조 제공

ESG 프레임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

  • ESG 원칙 및 실행 지침: 환경, 사회, 거버넌스별 가이드라인 제공
  • 성과 지표(KPI): ESG 성과 측정 및 보고를 위한 기준 수립
  • 규제 및 산업 표준 연계: ISO 14001, 26000, 37000 등 국제 표준과 호환 가능.

0.5 대상 독자 (Intended Audience)

본 문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 기업 및 조직: ESG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하려는 대기업, 중소기업, 공공기관
  • 투자자 및 금융 기관: ESG 리스크 분석 및 지속 가능성 평가를 위한 정보 제공
  • 정부 및 규제 기관: ESG 정책 및 규제 기준 개발 지원
  • 소비자 및 시민사회 단체: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신뢰성과 투명성 검증

ESG는 모든 조직이 지속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이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과 실행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문서의 목표입니다.


4장: ESG 원칙과 실천 (Principles and Practices in ESG)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원칙과 실행 방안을 설명합니다.

4.1 ESG 핵심 원칙

  1. 정직성(Integrity):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의사결정과 투명한 보고
  2. 성과 중심(Outcomes-focused): ESG 결정의 의도적·비의도적 결과 고려
  3. 형평성(Equity): 이해관계자의 이익 균형 고려
  4. 위험과 기회(Risks and opportunities): ESG 전략 및 운영에 통합
  5. 증거 기반(Evidence-based):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6. 성숙도(Maturity): 지속적인 개선과 ESG의 조직 내 정착

4.2 ESG 위험과 기회 관리

  • 환경적, 사회적, 거버넌스 측면에서 리스크 및 기회 식별 및 평가
  • ESG 리스크는 단순한 위협이 아닌 기회로 전환 가능

4.3~4.6 기타 ESG 실천 요소

  • 책임성과 투명성(Accountability & Transparency) 확보
  • 이해관계자 식별 및 참여: 조직이 영향을 미치는 주체와 협력 강화
  • 중요성 평가(Materiality Assessment): ESG에서 중요한 이슈를 선별하고 조직 전략과 연계
  • KPI 측정 프레임워크: ESG 성과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지표 설정

5장: 환경(Environmental)

조직의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5.1 환경 개요

  • ESG에서 환경은 온실가스(GHG) 감축, 자원 효율성 향상, 순환 경제 촉진, 생물 다양성 보호 등을 포함

5.2 환경 프레임워크

  • 환경 리스크와 기회 식별
  • 생애주기 평가(LCA), 탄소 발자국 분석 등을 활용한 환경 영향 평가
  • 데이터 기반 목표 설정 및 지속적인 성과 모니터링

5.3 실행 가능한 환경 조치

  • GHG 배출 감축 목표 설정
  • 재생 가능 에너지 전환
  • 생물 다양성 보전 프로젝트 실행
  • 물 소비 절감 및 재활용 확대

5.4 환경 KPI

  • 탄소 배출량(Scope 1, 2, 3)
  •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비율
  • 물·에너지 소비량
  • 폐기물 관리 및 매립 방지율

6장: 사회(Social)

조직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6.1 사회적 고려사항

  • 조직 내부: 직원의 노동 환경, 다양성, 인권 보호
  • 이해관계자: 고객 보호, 공급망 관리
  • 지역사회: 사회적 가치 창출 및 커뮤니티 지원

6.2 사회적 프레임워크

  • 사회적 리스크 및 기회 식별
  • 영향 평가 및 우선순위 선정
  • 지속 가능한 사회적 목표 설정

6.3 실행 가능한 사회 조치

  • 공정한 노동 관행 및 임금 형평성 유지
  • 공급망 내 인권 및 근로 조건 감사
  • 지역사회 투자 및 사회적 기업 지원

6.4 사회 KPI

  • 직원 만족도 및 건강·안전 지표
  • 다양성과 포용성
  • 지역사회 투자 및 사회적 영향력

7장: 거버넌스(Governance)

조직의 ESG 전략 실행을 위한 투명하고 책임 있는 거버넌스 구조를 구축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7.1 거버넌스 개요

  • ESG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윤리적 경영, 규정 준수, 리스크 및 기회 관리

7.2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 독립적인 이사회 구성
  • ESG 리스크 및 기회 평가
  • ESG 목표 및 실행 전략 수립

7.3 실행 가능한 거버넌스 조치

  • 이사회 다양성 및 독립성 강화
  • 반부패 및 뇌물 방지 정책 운영
  •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사이버 보안 강화

7.4 거버넌스 KPI

  • 규정 준수 및 반부패 지표
  • 리스크 및 기회 관리 지표
  • 데이터 보호 및 사이버 보안 성과

8장: 준수 및 적합성(Compliance & Conformity)

조직이 ESG 원칙을 준수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입증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8.1 ESG 준수 개요

  • ESG 준수(Compliance)와 적합성(Conformity)의 개념 구분
  • 법적 요구사항(Compliance) vs. 자발적 표준 준수(Conformity)

8.2 ESG 적합성 평가(Conformity Assessment)

  • 검증(Verification): 현재 및 과거 데이터 검토
  • 확인(Validation): 미래 목표 및 전략 평가

8.3 지속적 개선을 위한 준수 체계

  • ISO 14001, ISO 26000, ISO 37000 등 국제 표준 준수
  • ESG 평가 및 검증을 통한 지속적 개선

9장: ESG 보고(Reporting)

조직이 ESG 성과를 신뢰성 있게 보고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9.1 ESG 보고 개요

  • ESG 성과 및 목표를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원칙과 지침 제시

9.2 ESG 보고 원칙

  • 비교 가능성, 신뢰성, 투명성 유지
  • 재무 및 비재무적 ESG 정보 통합

9.3 ESG 보고 체계

  • GRI, SASB, TCFD, ISSB 등 국제 표준 활용
  • 독립적인 검증 및 보증(Assurance) 수행

10장: 지속적 개선(Continual Improvement)

ESG 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ESG 성숙도를 높이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0.1 지속적 개선 개요

  • ESG 목표는 정적이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함

10.2 ESG 개선을 위한 주요 질문

  • ESG 목표와 KPI가 조직의 사명과 일치하는가?
  • ESG 성과를 평가하고 모니터링하는 체계가 적절한가?
  •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반영하고 있는가?

10.3 지속적 개선 실행

  • ESG 성과 평가 후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실행
  • ESG 전략 및 목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10.4 관리 시스템을 통한 개선

  • ISO 기반 ESG 관리 시스템 도입
  • ESG 개선 사항을 조직의 운영 체계에 통합

국제 ESG경영 가이던스(IWA 48:2024)은 조직이 ESG 원칙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과를 달성하도록 돕는 포괄적인 가이드입니다.

  • 4장: ESG의 기본 원칙과 리스크·기회 관리
  • 5장: 환경 보호 및 자원 효율성 강화
  • 6장: 사회적 책임 및 이해관계자 관리
  • 7장: 투명하고 윤리적인 거버넌스 구축
  • 8장: ESG 준수 및 적합성 평가
  • 9장: 신뢰할 수 있는 ESG 보고 체계
  • 10장: ESG 지속적 개선 및 성숙도 향상

이를 통해 조직은 ESG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기회를 극대화하며,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