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레질리언스 연구소(3R Lab)의 역할

1. 리스크®레질리언스 연구소(3R Lab)의 역할

  • 비즈니스 리스크를 사전에 제품 Lifecycle 각 단계에서 식별하여 사전에 이를 예방 및 대비하고, 사고(Event)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목표한 시간 이내로 대응, 복구 할 수 있는 3R Lab의 방법론을 통하여 조직의 회복탄력성을 향상과 지속적 성장이 가능하도록 협력하는 리스크®레질리언스 연구소 입니다.

     

      • 리스크(Risk) 식별하여 리스크 Level(High, Medium, Low)을 결정하고 레질리언스(Resilience)를 위하여 리스크와 레질리언스 향상을 연결해 주는 가교(Bridge)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2. 리스크®레질리언스 방법론(Framework)

    1) 경영시스템(Management System)

     

      • 리스크®레질리언스 방법론(Framework)은 경영시스템(Management System Standard)의 통합 운영으로 기업의 업무 생산성을 높여 줍니다.

      • 통합 MMS 운영으로 이해관계자의 고객만족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내부적으로는 비효율적인 낭비를 개선함으로써 효율성의 증가가 됩니다.

      • 통합 MMS는 기업의 상황을 진단하고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2) 리스크®레질리언스(Risk®Resilience)

     

      • 리스크®레질리언스는 ISO 22301 비즈니스연속성경영시스템을 기반으로하여 품질, 환경, 안전, 윤리 등 ESG 관련한 내용을 통합하여 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리스크는 제품(Product), 공정(Process), 작업자(People)에 대하여 누락없이 식별하여 관리 하여야 합니다.

      • 리스크 식별 및 관리 방법은 제품(Product)은 설계 FMEA, 공정(Process)은 공정 FMEA, 작업자(People)는 유해위험평가를 통하여 관리합니다.

      • 식별된 리스크에 대해서는 과학적 현장개선 QC기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현장의 직원들과 협력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실행합니다.

    3) 현장개선(Continual Improvement)

     

      • 현장개선은 조직의 역량과, 제품개발 Livecycle 단계별로 다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의 상황을 진단하고 최적의 현장개선 방법론을 제공하여 드립니다.

      • 현장개선 기법은 다양하지만 주요한 QC기법으로 6시그마, 통계적공정관리(SPC), TPS(Lean 6시그마), 3정 5S, 개선제안, 품질분임조, 방침관리(KPI), 품질코스트(COPQ) 등 적용을 통하여 지속적인 향상의 기반을 제공해 드립니다.

      • 현장개선은 한개의 테마에 대하여 즉시 해결이 가능할 수도 있고 3~6개월 정도 개선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데 전 직원이 참여하는 지속적 개선 방법론을 설계하여 함께 실행합니다.

    Home : www.3rlab.kr

    Mail : 3rlab@naver.com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