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측정기기 요구사항에 대한 배경 및 개요
품질보증조달물품 “핵심품질”로 설정되어 있는 검사용 측정기기 확보, 검정 또는 교정 실시에 대한 요구사항은 중요한 항목이지만 대부분 법정 교정주기에 따라 교정하는 것을 적합한 품질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다.
KANO 모델에서는 감동적인 요소를 매력적 품질. 기본적 요소를 일반적 품질, 필수적 요소를 기본적 품질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 부분을 토대로 요구사항의 이행 수준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품질보증조달물품은 측정기기를 법정 교정주기 이내로 검정 또는 교정을 실시하면 필수적인 수준으로 만족하는 것이며 이는 현장평가 시 낮은 수준으로 평가가 되며, 감동적요소가 포함되어 매력적인 품질 수준이 되려면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벤치마킹과 창의적인 방법으로 보완하여야 합니다.
2. 측정기기 요구사항 해설
요구사항은 2.7.3항목에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제품 검사 및 시험에 적합한 측정기를 보유하고 있고, 측정기를 국제적인 소급성 유지를 위해 정해진 주기별로 공인기관에서의 검정 또는 교정을 실시하고 있는가?”
요구사항 해설은 개요, 목적, 입력물, 프로세스, 출력물 순서로 설명하고자 한다.
프로세스는 Plan 계획, Do 실시, Check 확인, Action 조치 순서로 작성되어 있다.
1) 개요
제품 검사 및 시험에 필요한 측정기를 보유하고 있고 대부분 유효기간에 만족하도록 검정 및 교정을 실시하고 있다. 일부 회사에서는 교정비용 절감을 위하여 법정 교정주기를 1년에서 2년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핵심품질에 위배되는 사항이다. 저울 등 법정 교정주기가 1년으로 되어 있고 공인기관에서 교정을 실시해야 하는데 자체 점검을 실시하는 것도 문제이다.
제품 검사용 측정기기를 확보해야 하며, 법적 검정 또는 교정주기에 부합되도록 검정 또는 교정을 실시해야 한다. 검정 또는 교정 이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며, 측정 시스템의 개선 계획 수립 및 실행을 효과적으로 실행하여 성과가 향상되어야 한다.
선진 회사의 경우는 측정기에 대한 법정 검정 또는 교정주기를 전산상에서 사전 경고를 실시하여 주고, 유효 기간 이내에 실시하고 있고, 측정기에 대한 유효성을 제품 규격에 부합하도록 확인 관리하고 있다. 측정기를 사용하는 사람, 측정기, 측정 대상 부품의 오차를 확인하는 Gage R&R을 실시하여 검사원간 차이가 없도록 관리하고 있다.
2) 목적
제품 검사 및 시험에 적합한 측정기를 보유해야 하며, 측정기를 국제적인 소급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법정 주기별로 공인기관에서 검증 또는 교정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입력물(Input)
∙ 법정 측정기 교정주기표
∙ 시험 및 교정 공인기관 목록표 등 입니다.
법정교정주기와 국제적인 소급성은 측정기기의 국지적인 소급성 유지하는 것이다.
∙ 미국표준기술원(NIST :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은 미 상무성 산하의 중요 국가측정기관(NMI : National Measurement Institute)이다.
∙ NMI는 많은 국가 시험실, 게이지 공급자, 최신 측정기 제조 회사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여 그들의 참조 표준을 적절하게 교정하고 있고, NMI의 표준에 직접 소급 가능함을 보증한다.
∙ 이 후에 이들 정부 또는 민간 기관들은, 작업 또는 기타 중요 표준을 교정하여, 고객의 도량형 또는 게이지 실험실에 교정 및 측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고리는 궁극적으로 공장 현장에 이르고 측정 소급성의 기반을 제공한다.
∙ 끊어짐이 없는 연결고리를 통해 NIST와 연결된 측정값은 NIST로 소급가능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공인된 국가공인기관에서 측정기기에 대한 교정을 실시하여 국제적인 소급성을 유지해야 한다.

4) 프로세스(Process)
(1) 계획(Plan)
∙ 검사 및 시험 프로세스에 법정 교정주기에 만족하도록 검정 및 교정 측정기 교정주기 설정, 검정 및 교정 방법, 현장 측정기 식별 방법을 포함하여 작성한다.
법정 측정기 교정주기에 부합하도록 교정주기를 결정한다.
∙ 검정 또는 교정된 측정기 이력 방법을 결정한다.
(2) 실시(Do)
∙ 측정기의 검정 또는 교정은 법정 교정주기가 넘지 않도록 유효기간 이내에 실시하도록 관리대장 또는 전산 시스템을 활용하여 관리한다.
법정 교정 주기 기준은, 교정 대상 및 주기 설정을 위한 지침(KOLAS G 013)에 따라 교정 주기 즉 정밀기계의 주기를 적용한다.

∙ 측정기는 국제적 소급이 가능하도록 공인기관에서 실시한다.
∙ 검정 또는 교정된 측정기는 제품 규격에 부합하는지(제품 규격서의 검사 및 시험항목 충족 여부) 검증한다.
∙ 검사 및 시험기기를 미보유한 경우에는 시험 항목의 전문시험기관에 의뢰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 측정기에 교정 라벨을 부착(봉인상태 관리) 또는 별도 식별된 번호를 부착하여 교정 유효기간을 식별 관리한다.
∙ 측정 항목에 대하여 측정시스템(Gage R&R)을 실시하여 검출력을 높이는 활동을 실시한다.
(3) 확인(Check)
∙ 측정기 관리 관련 성과지표에 대한 품질 목표를 모니터링하여 목표 대비 실적이 부진할 경우 개선 대책을 실시한다.
∙ 측정기 관리에 대한 성과지표는 측정기 검정 및 교정 계획 대비 실적, 측정 항목 Gage R&R 실시율 등으로 관리할 수 있다.
(4) 조치(Action)
측정기 관리에 대하여 부족한 부분에 대한 중점 개선 과제를 설정하여 지속적으로 성과 개선 관리한다.
5) 출력물(Output)
∙ 검사 및 측정기기 보유(제품규격서의 검사 및 시험항목 충족 여부)
∙ 검정 또는 교정 실시 이력 이는 핵심품질 항목이다.
∙ 검정 또는 교정 봉인상태 관리
∙ 검사 및 시험기기 미보유 시험항목의 전문시험기관 시험 의뢰 등 입니다.
3.효과적인 측정기기의 검정 또는 교정 관리
측정기기에 대한 년간 검교정 계획 수립 및 교정 실시, 법정 교정주기가 초과되지 않도록 사전 관리 즉 Excel로 교정기간을 설정하여 사전 관리, IT시스템을 활용한 사전 경고시스템 운영, 측정기 교정 이후 제품의 스펙과 측정기의 측정 오차와 부합되는 합부 판정기준에 따른 검증결과 유지, 측정기 별로 검사자, 측정 부품, 측정자에 대한 Gage R&R을 수행하여, 측정기 오차가 발생하지 않은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합니다.
Mail : 3rlab@naver.com
Home : https://3rlab.kr
Blog : https://3rlab@naver/3rlab
답글 남기기